반응형

분류 전체보기 27

킨츠기 수업, 이가 나간 그릇 수리하기

킨츠기 수업중에서 제일 많이 수리하는 것은 이가 나갔을 경우나 표면의 유약층이 깨진 경우의 도자기를 많이 가지고 오셔서 수업에 참여하고 있습니다. 일상생활에서 도자기를 사용하다보면 이가 나가거나 유약층이 깨져 나가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이가 나간 그릇의 도자기 수리는 킨츠기 과정중 수리 접근성이 제일 용이하고, 복원 만족도가 제일 높다고 볼 수 있습니다. 가정에서도 재료만 준비 되어 있다면, 누구나가 집에서도 홈킨츠기로 할 수 있습니다. 최대한 간략한 방법으로 알려 드리고 있으니 깨진 그릇 이제는 버리지 마세요. 깨진 부분은 수리가 되어 미감으로 부활하는 모습을 보시기를 추천드립니다. 준비물 이가 나간 그릇 물 10ml 타일 or 유리판(20센티 내외) 헤라 사포(800방-1200방) 세필붓 커터칼 물..

킨츠기 수업 도자기 옻칠 수리

킨츠기는 옻과 금으로 수리하는 옻칠공예중에 하나입니다. 킨츠기 Kinstugi 란 생활 그릇 또는 도자기를 수리하는 기법을 말합니다. 킨츠기는 일본에서 불리워지는 이름이고, 우리나라에서는 도자기 옻칠 수리, 복원으로 일반적으로 불리워지고 있습니다. 일본의 킨츠기가 대표적으로 알려져 있어 킨츠기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킨츠기는 수리하는 재료 성질에 따라 혼킨츠기와 칸이 킨츠기로 나누어집니다. 혼키츠기와 칸이 킨츠기혼킨츠기(本金继ぎ)는 천연 재료로만 사용하고 모든 과정에 천연옻을 사용하는 전통 기법이고, 칸이 킨츠기(簡易金継 ぎ)는 모든 수리과정에 합성 재료나 접착제로 수선하는 방법으로 비교적 수리하는 공정과 시간이 짧고 간단합니다. 반면에 혼킨츠기는 천연재료와 옻으로만 수리하는 과정으로 옻칠 건조..

오발oval 그라탕 접시 만들기

청자토와 같이 어두운 점토에 하얀 백토분을 분장하는 수업을 가졌습니다. ​얼굴에 파우다를 두드리듯, 철분이 들어간 점토 기면에 하얀색 백토분을 화장하듯 입히는 장식기법입니다. 어두운색을 가진 점토가 하얗게 되려고, 변신하는 방법중의 하나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일명, 분청사기(분청자)라고 불리우며, 분청사기란 청자와 같이 회흑색 점토위에 백색점토로 바르거나, 담그거나 여러가지 장식하는 기법이 다양합니다. 장식하는 기법에 따라 용어가 다양합니다. 장식기법 백토분장을 어떻게 장식하느냐 인화문, 조화문, 박지문, 덤벙, 귀얄문등으로 나누어 질 수 있습니다. 인화문은 다양한 모양의 도장을 기물 표면에 찍어 백토를 감입하는 기법입니다. 국화문, 우점문등은 많이 사용되는 문양입니다. 조화문과 박지문은 기물 전체에 ..

취미정규반 2024.02.14

크리스마스 세라믹 트리 오너먼트 만들기

매해 12월 25일은 크리스마스 또는 성탄절입니다. 크리스마스는 기독교에서 아기 예수의 탄생일을 기념일로 정하여 예수의 탄생을 축하하고, 기념하는 날입니다. 세라믹 점토로 크리스마스 트리 또는 트리에 걸어 장식할 오너먼트를 만들어 보겠습니다. 트리는 원뿔 형태로 제작하고, 오너먼트는 구형태보다 플랫 하게 장식하여 만들어 보겠습니다. 크리스마스 용어와 의미 크리스마스는 크라이스트 christ와 매스 mass 의 합성어로 크라이스트는 기름 부음을 받은 자, 구원자라는 뜻의 히브리어 '메시아'를 그리스어로 번역한 말인 그리스도를 다시 영어식으로 읽은 것입니다. -나무위키 출처- 크리스마스(Christmas)는 예수 그리스도의 탄생을 축하하며 기념하는 날입니다. 성탄절(聖誕節)이라고도 부릅니다. 12월 25일로..

도자기 수업 2022.12.23

통일신라시대 우리의 그릇 질그릇

통일신라시대는 고구려, 백제를 통일한 신라에 의해 8세기에 통일 문화를 맞이하게 됩니다. 삼국의 다양성과 문화를 아우르는 시대라고 볼 수 있습니다. 통일 후 경주를 중심으로 귀족 문화와 불교문화가 전개되면서 질그릇과 생활 용기에도 많은 변화를 이루었습니다. 불교 사상이 통일신라시대의 질그릇에 미친 영향을 알아보고 질그릇의 특징을 알아보겠습니다. 통일신라 시대의 화엄 사상과 정토 신앙 왕권과 귀족이 추구하던 화엄 사상과 서민들의 정토 신앙은 통일신라시대의 사회와 사상적 배경이 되고, 예술문화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아 많은 예술품이 제작되었습니다. 이 시대에 불교는 모든 백성에게 일반화되기 시작했다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불교를 받아들여 다양한 문화와 조화를 이루는 통합의 세계를 지향하고 발전을 이루었습니다...

도자기 수업 2022.12.08

고려시대 우리의 그릇 질그릇

고려시대는 불교문화가 전적으로 영향을 받은 시대였습니다. 초기에는 통일신라 말에 이어진 선종의 문화가 지배적이었지만, 불교의 교리를 통해 깨달음을 얻고자 하는 교종의 세계관으로 이루어 갔습니다. 교종을 중심으로 선을 위주로 한 선종의 교리를 통일하고자 하는 천태종이 널리 퍼졌습니다. 정리하자면 선종은 자아 성찰을 통해 해탈을 이루고, 교종은 불교의 교리를 통해 깨달음을 얻는 수행방법에 따라 나누어집니다. 이러한 선종과 교종의 불교의 영향은 고려 시대의 질그릇을 통해서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고려시대의 질그릇의 특징 현실 세계보다는 내세의 세계를 중시하는 고려 불교의 영향으로 엷은 회색, 회청색 및 고요한 색감은 질그릇에서 엿볼 수 있습니다. 선의 세계의 고요함 등이 고려인들에게는 정서적으로 스며들었고, ..

도자기 수업 2022.11.25

질그릇 그리고 도기와 토기

인류 문명과 함께 현재까지 우리의 삶과 유기적 관계로 발전해 온 것이 도자기라고 생각합니다. 또한, 인간이 불을 사용하고 인류 발달함에 따라 생활 도자기가 제작되고, 농경과 목축의 시작으로 생활에 필요한 용기가 제작되고, 발달되었습니다. 우리가 최초로 도자기를 사용한 시기는 출토 유물에서 볼 수 있듯이 신석기시대의 질그릇입니다. 질그릇은 청동기, 철기, 삼국, 고려, 조선시대 걸쳐 지금까지도 통용되는 용어입니다. 질그릇 용어 뜻 질그릇이란 도기로 만든 그릇이며, 순수 우리말의 표현입니다. 오늘날 토기라고 사용되고 불리고 있으나, 이는 잘못된 표현입니다. 질그릇과 도기, 토기의 용어의 개념을 짚어가는 페이지로 열겠습니다. 질그릇의 탄생 질그릇이란 도토로 만들어진 순수한 우리말 표현의 그릇입니다. 조선 문헌..

도자기 수업 2022.11.19

잭슨 폴록의 액션 페인팅으로 도자기 장식하기

현대 미술에서 빼놓지 않고 손꼽히는 1950년대 추상표현주의 잭슨 폴록의 액션 페인팅을 도자기 장식 수업으로 가져 봤습니다. 수강생분들이 잠시 무의식 세계로 경험해보셨다면서 스트레스 해소 시간이 되었던 수업이었어요. 잭슨 폴록은 캔버스 위에서 붓으로 그림을 그리는 것이 아니라, 물감을 떨어뜨리고 뿌리는 액션 페인팅의 선구자라고 할 수 있습니다. 무의식적으로 뿌리거나 흘리거나 털거나 각자 잭슨 폴록이 되어 보는 시간을 가져 보았습니다. 제작 방법 성형된 기물이나 초벌 되어진 기물에 먼지를 제거 한 후, 붓이나 막대기에 물감을 적셔 기물과 적정한 거리를 준 뒤, 뿌리거나 흘려서 털어 줍니다. 무의식속에서 붓으로 뿌려 생기는 문양은 새로운 장식문양으로 표현 되어집니다. 붓으로 흘리는 의식속에서 우연성의 예술성..

도자기 수업 2022.11.1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