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도자기 수업 22

크리스마스 세라믹 트리 오너먼트 만들기

매해 12월 25일은 크리스마스 또는 성탄절입니다. 크리스마스는 기독교에서 아기 예수의 탄생일을 기념일로 정하여 예수의 탄생을 축하하고, 기념하는 날입니다. 세라믹 점토로 크리스마스 트리 또는 트리에 걸어 장식할 오너먼트를 만들어 보겠습니다. 트리는 원뿔 형태로 제작하고, 오너먼트는 구형태보다 플랫 하게 장식하여 만들어 보겠습니다. 크리스마스 용어와 의미 크리스마스는 크라이스트 christ와 매스 mass 의 합성어로 크라이스트는 기름 부음을 받은 자, 구원자라는 뜻의 히브리어 '메시아'를 그리스어로 번역한 말인 그리스도를 다시 영어식으로 읽은 것입니다. -나무위키 출처- 크리스마스(Christmas)는 예수 그리스도의 탄생을 축하하며 기념하는 날입니다. 성탄절(聖誕節)이라고도 부릅니다. 12월 25일로..

도자기 수업 2022.12.23

통일신라시대 우리의 그릇 질그릇

통일신라시대는 고구려, 백제를 통일한 신라에 의해 8세기에 통일 문화를 맞이하게 됩니다. 삼국의 다양성과 문화를 아우르는 시대라고 볼 수 있습니다. 통일 후 경주를 중심으로 귀족 문화와 불교문화가 전개되면서 질그릇과 생활 용기에도 많은 변화를 이루었습니다. 불교 사상이 통일신라시대의 질그릇에 미친 영향을 알아보고 질그릇의 특징을 알아보겠습니다. 통일신라 시대의 화엄 사상과 정토 신앙 왕권과 귀족이 추구하던 화엄 사상과 서민들의 정토 신앙은 통일신라시대의 사회와 사상적 배경이 되고, 예술문화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아 많은 예술품이 제작되었습니다. 이 시대에 불교는 모든 백성에게 일반화되기 시작했다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불교를 받아들여 다양한 문화와 조화를 이루는 통합의 세계를 지향하고 발전을 이루었습니다...

도자기 수업 2022.12.08

고려시대 우리의 그릇 질그릇

고려시대는 불교문화가 전적으로 영향을 받은 시대였습니다. 초기에는 통일신라 말에 이어진 선종의 문화가 지배적이었지만, 불교의 교리를 통해 깨달음을 얻고자 하는 교종의 세계관으로 이루어 갔습니다. 교종을 중심으로 선을 위주로 한 선종의 교리를 통일하고자 하는 천태종이 널리 퍼졌습니다. 정리하자면 선종은 자아 성찰을 통해 해탈을 이루고, 교종은 불교의 교리를 통해 깨달음을 얻는 수행방법에 따라 나누어집니다. 이러한 선종과 교종의 불교의 영향은 고려 시대의 질그릇을 통해서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고려시대의 질그릇의 특징 현실 세계보다는 내세의 세계를 중시하는 고려 불교의 영향으로 엷은 회색, 회청색 및 고요한 색감은 질그릇에서 엿볼 수 있습니다. 선의 세계의 고요함 등이 고려인들에게는 정서적으로 스며들었고, ..

도자기 수업 2022.11.25

질그릇 그리고 도기와 토기

인류 문명과 함께 현재까지 우리의 삶과 유기적 관계로 발전해 온 것이 도자기라고 생각합니다. 또한, 인간이 불을 사용하고 인류 발달함에 따라 생활 도자기가 제작되고, 농경과 목축의 시작으로 생활에 필요한 용기가 제작되고, 발달되었습니다. 우리가 최초로 도자기를 사용한 시기는 출토 유물에서 볼 수 있듯이 신석기시대의 질그릇입니다. 질그릇은 청동기, 철기, 삼국, 고려, 조선시대 걸쳐 지금까지도 통용되는 용어입니다. 질그릇 용어 뜻 질그릇이란 도기로 만든 그릇이며, 순수 우리말의 표현입니다. 오늘날 토기라고 사용되고 불리고 있으나, 이는 잘못된 표현입니다. 질그릇과 도기, 토기의 용어의 개념을 짚어가는 페이지로 열겠습니다. 질그릇의 탄생 질그릇이란 도토로 만들어진 순수한 우리말 표현의 그릇입니다. 조선 문헌..

도자기 수업 2022.11.19

잭슨 폴록의 액션 페인팅으로 도자기 장식하기

현대 미술에서 빼놓지 않고 손꼽히는 1950년대 추상표현주의 잭슨 폴록의 액션 페인팅을 도자기 장식 수업으로 가져 봤습니다. 수강생분들이 잠시 무의식 세계로 경험해보셨다면서 스트레스 해소 시간이 되었던 수업이었어요. 잭슨 폴록은 캔버스 위에서 붓으로 그림을 그리는 것이 아니라, 물감을 떨어뜨리고 뿌리는 액션 페인팅의 선구자라고 할 수 있습니다. 무의식적으로 뿌리거나 흘리거나 털거나 각자 잭슨 폴록이 되어 보는 시간을 가져 보았습니다. 제작 방법 성형된 기물이나 초벌 되어진 기물에 먼지를 제거 한 후, 붓이나 막대기에 물감을 적셔 기물과 적정한 거리를 준 뒤, 뿌리거나 흘려서 털어 줍니다. 무의식속에서 붓으로 뿌려 생기는 문양은 새로운 장식문양으로 표현 되어집니다. 붓으로 흘리는 의식속에서 우연성의 예술성..

도자기 수업 2022.11.15

분청사기 분청자의 장식기법 종류

분청사기란 청자 소지에 분화장을 했는지 안 했는지 여부에 따라 의미가 달라집니다. 고려 말에 상감청자가 쇠퇴하고 분청사기(분청자)가 탄생되는 시기입니다. '분장회 청사기'의 줄임말이며, 청자와 같이 회흑색 소지 위에 백토로 화장하고, 청자 유류의 유약을 바른 사기를 말합니다. 분청사기는 쇠퇴한 상감청자에서 제작이 시작되어, 여러 가지 장식 기법에 따라 발전하여 왔습니다. 장식 기법은 다양한 백토 분장에 따라 표현되고, 기법의 종류는 다음과 같습니다. 분청사기 장식 기법 종류 인화문 인화문은 고려 상감 기술이 이어지는 장식 기법 중에 하나라고 볼 수 있습니다. 다양한 문양을 가진 도장을 파서 기물 표면에 찍어 백토를 감입하는 기법입니다. 많이 사용하는 문양은 국화문, 연판문, 우점문 등이 있습니다. 우점문..

도자기 수업 2022.11.12

분청 편병은 시간을 뛰어넘는 과학입니다.

도자의 역사는 문명과 불가분의 관계로 현재까지 최적의 미감을 추구하기 위해 노력하고 공존해 오고 있습니다. 도자 성형에 있어서 여러 방법이 있지만, 제일 보편적으로 많이 이용하고 창의적인 방법으로는 물레 성형이 있을 수 있습니다. 물레 성형은 전통 도예 기법을 계승하는 최상의 도구이며, 기본적인 도구입니다. 오늘 성형하고자 하는 형태는 편병입니다. 편병이란 원형의 병 상태를 납작하게 눌러서 편기 형태를 만드는 전통적 기형의 한 종류입니다. 편형(편병)의 의미 편형이란 편병, 편기, 편호를 포괄하는 용어입니다. 편병의 사전적 의미로는 몸체는 납작하며, 목이 좁은 자라목 형태를 의미합니다. 그러나 현대에는 보다 넓게 확대해서 사용하고 있으며 시대나 형태에 치우치지 않고 납작한 형태의 모든 용기를 지칭합니다...

도자기 수업 2022.11.08

속파기 성형으로 도자기 합 만들기 (분청기법)

분청 기법은 청자토나 회청색 점토에 백토분을 붓으로 발라 장식한 기법으로, '분장회청사기'의 준말로 분청사기라고도 불린다. 한국 미술 사학자이자 선구자였던 우현 고유섭(1905-1944) 선생이 지은 이름입니다. 도자합은 상, 하가 분리되어 있고, 몸통 위에 뚜껑이 덮이는 기물을 의미합니다. 제작 방법과 사용 용도에 따라 이장(Slip)을 이용한 주입식 성형, 물레 성형, 속파기 성형이 있습니다. 오늘은 성형기법 중 속파기 기법으로 성형한 기물 표면에 백토분을 발라 합을 장식하여 완성하였던 수업 내용을 알려 드리겠습니다. 도자 합의 정의 도자합은 일반적으로 몸통과 뚜껑이 있는 형태를 말하며, 몸통과 뚜껑이 상하로 분리되는 하나의 그릇 형태로 이루어진 기물입니다. 하나의 몸체에서 뚜껑과 몸통이 분리되어 있..

도자기 수업 2022.11.04
반응형